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 서울 32℃

  • 인천 29℃

  • 백령 29℃

  • 춘천 30℃

  • 강릉 24℃

  • 청주 30℃

  • 수원 29℃

  • 안동 28℃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9℃

  • 전주 31℃

  • 광주 30℃

  • 목포 28℃

  • 여수 27℃

  • 대구 27℃

  • 울산 26℃

  • 창원 30℃

  • 부산 27℃

  • 제주 26℃

LG������������ 검색결과

[총 10,322건 검색]

상세검색

'캐즘 장기전'···전기차에서 '로봇'으로 눈 돌리는 K-배터리

에너지·화학

'캐즘 장기전'···전기차에서 '로봇'으로 눈 돌리는 K-배터리

전기차의 수요가 잠시 브레이크를 밟자, 배터리 기업들이 새 활로 찾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미래 성장성이 높은 로봇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선 모습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부터 베어로보틱스가 생산하는 서빙용 로봇인 '서비 플러스', '물류용 자율주행로봇 카티' 등에 배터리 셀을 공급 중이다. 지난해 11월 MOU(업무협약)를 체결한 이후 원통형 2170 배

공들이는 이유 있었네"···LG전자 인도법인, 美 제치고 '톱'

전기·전자

공들이는 이유 있었네"···LG전자 인도법인, 美 제치고 '톱'

LG전자가 '기회의 땅'인 인도 시장을 사로잡기 위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인도 법인은 역대 최대 1분기 매출 달성, 미국 법인의 순이익 규모를 제치는 등 성과도 나오고 있다. 이에 LG전자는 가전을 앞세운 소비자 간 거래(B2C) 시장은 물론 냉동공조 자회사를 설립하며 기업간 거래(B2B) 영역에서까지 성장 기회를 엿보는 모양새다. 21일 LG전자가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인도법인 매출액은 1조2428억원, 순이익은 12

정부,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추진...현대차·LG전자 등 참여

산업일반

정부,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추진...현대차·LG전자 등 참여

산업통상자원부가 현대차, LG전자 등과 협력하여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4대 산업분야에서 수요·공급 기업이 협력하며, 총 1조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는 실시간 연산, 저전력, 보안성 등에서 강점을 지니며, 내년부터 정부예산 지원을 목표로 한다.

산업 재편에 장장 10년···EU·日은 어땠길래

에너지·화학

[구조조정 실종 K-석화]산업 재편에 장장 10년···EU·日은 어땠길래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중국발(發) 공급과잉과 글로벌 수요 둔화로 실적 부진에 빠진 가운데, 구조조정 '지연' 또는 '실종'이라는 또 하나의 위기에 직면했다.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지난 2014년부터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범용 제품 위주의 사업 구조에 머물러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유럽연합(EU)과 일본이 10년 이상에 걸쳐 추진한 구조조정 사례를 참고해 지속가능한 산업 체계로의 전환을

구본무 7주기···뚝심과 끈기 리더십 재조명

재계

구본무 7주기···뚝심과 끈기 리더십 재조명

고(故) 구본무 LG그룹 선대회장의 7주기가 다가오면서 그의 뚝심과 끈기의 리더십이 재조명 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국내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지금의 위기를 타개하려면 그의 '뚝심과 끈기' 정신을 되살리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포트폴리오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내일(20일)은 구 선대회장의 7주기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비롯해 LG 주요 경영진들이 모여

韓·GM이 콕 찝은 'LMR'···中LFP 대안될지는 '미지수'

에너지·화학

韓·GM이 콕 찝은 'LMR'···中LFP 대안될지는 '미지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중심의 저가형 제품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기업과 GM은 NCM(니켈·코발트·망간)과 LFP의 장점을 절충한 '중간 해법'으로 LMR(리튬·망간·리치) 배터리에 주목하고 있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잡기 위한 전략이지만, 아직 양산이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LMR이 중국의 LFP 독주 체제를 흔들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제너럴

나프타, 500달러선 진입···석유화학업계 기대감↑

에너지·화학

나프타, 500달러선 진입···석유화학업계 기대감↑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의 실적을 가르는 나프타(납사)의 월평균 가격이 두 달 연속 500선대를 기록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던 국내 석화업체들의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나프타의 이달 월평균 가격은 톤(t)당 556.63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575.44달러)대비 9.86% 낮아진 수준이자, 올해 연중 최저치다. 특히 5월 평균 가격은 지난해를 통틀어서도 가장 낮

LG전자 인도법인,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순이익 달성

전기·전자

LG전자 인도법인,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순이익 달성

인도의 국민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비전으로 현지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인 LG전자가 올해 1분기 인도법인에서 매출액과 순이익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LG전자의 인도법인 매출액은 1조2428억원, 순이익은 1243억원이었다. 이는 모두 1분기 사상 최대치다. 특히 순이익은 이번에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었다. LG전자는 인도에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인도

LG이노텍, 최대 매출에도 수익성 악화..왜?

전기·전자

LG이노텍, 최대 매출에도 수익성 악화..왜?

LG이노텍이 사상 최대 매출 행진에도 정작 수익성은 쪼그라들고 있다. 특히 경쟁사와 비교하면 2배 이상의 매출액을 거뒀음에도 영업이익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많이 팔았지만 그만큼 실속은 없었다는 의미다. 이들의 최대 고객사로 꼽히는 애플이 결국 '빛좋은 개살구'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LG이노텍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4조9828억원이었다. 이는 1분기 역대 최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51

LG전자, 베트남 냉장고 생산 줄인다···美 상호관세 대응

전기·전자

LG전자, 베트남 냉장고 생산 줄인다···美 상호관세 대응

LG전자가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베트남 공장의 미국향 냉장고 생산 물량을 일부 조정하기로 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베트남 하이퐁 공장의 냉장고 생산라인 가동률을 낮춰 미국향 냉장고 물량을 줄이기로 결정했다. 대신 기존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냉장고 생산량을 확장해 미국 시장 공급 비중을 늘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초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해 46%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대응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