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위반 시 2000만원 과태료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부터 해외 게임사에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를 부여하는 게임산업법을 시행한다. 매출 1조 원 이상 등 요건을 충족하는 해외 게임사는 국내에 대리인을 지정해야 하며, 미이행 시 2천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번 조치는 게임 유통질서 강화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마련되었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게임
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위반 시 2000만원 과태료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부터 해외 게임사에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를 부여하는 게임산업법을 시행한다. 매출 1조 원 이상 등 요건을 충족하는 해외 게임사는 국내에 대리인을 지정해야 하며, 미이행 시 2천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번 조치는 게임 유통질서 강화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마련되었다.
일반
SK그룹, 중소·중견기업에 특허 77건 무상 공급
SK그룹이 77건의 첨단 특허를 중소·중견기업 62곳에 무료로 이전했다. 이번 기술나눔은 통신, 반도체, 화학·소재, 스마트 의료 등 주요 분야에 이뤄졌으며, 기술사업화 전략과 투자유치 컨설팅도 병행됐다. SK그룹은 2014년부터 현재까지 392건의 특허를 259개 기업에 무상 제공했다.
전기·전자
LG전자 인도법인, 현지 증시 입성···현지 특화 가전 라인업 전격 공개
LG전자 인도법인이 인도 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하며 현지 특화 가전 라인업을 최초 공개했다. 인도 맞춤형 전략과 생산기지 확대, R&D 투자로 시장점유율 1위 굳히기에 나섰다. 공모 경쟁률 54배를 기록하며 12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와 현금 유입으로 미래 성장 투자와 주주가치 제고에 나설 계획이다.
에너지·화학
[단독]'통합 SK온' 출범 앞두고 MBK 이사 사임···이사회 정비 신호탄
SK온이 다음 달 1일 SK엔무브와의 합병을 앞두고 이사회 재편에 나섰다. 합병을 불과 한 달 남겨둔 시점에서 재무적투자자(FI) 측 인사였던 부재훈 SK온 기타비상무이사가 임기를 남긴 채 중도 사임하면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부재훈 SK온 기타비상무이사는 이달 1일 자로 임기 약 5개월을 남기고 사임했다. 기존대로라면 부 이사의 임기 만료 시점은 내년 3월이다. 1970년대생인 부 이사는 MBK파트너스 스페셜시튜에이션스(SS) 대표
제약·바이오
美 FDA 출신 대표 돌연 사임···네오이뮨텍 주가·신뢰 '동반 추락'
네오이뮨텍의 글로벌 FDA 승인 전략을 이끌던 오윤석 대표가 개인적 사유로 전격 사임하면서 회사의 불확실성이 커졌다. 오 전 대표는 NT-I7 ARS 치료제 상업화를 주도했으며, 현재 회사는 CFO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했다. 주가는 급락했고, 향후 기술이전과 미국 정부 비축시장 진입 여부가 회사의 생존을 좌우할 전망이다.
한 컷
[한 컷]'명륜진사갈비 대부업 의혹' 등 질의 경청하는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소비자원 등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
한 컷
[한 컷]국감장 찾은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소비자원 등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의원의 질문을 경청하고 있다.
한 컷
[한 컷]국감 업무보고하는 윤수현 한국소비자원장
윤수현 한국소비자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소비자원 등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한 컷
[한 컷]국감 업무보고하는 최영근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
최영근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소비자원 등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에너지·화학
영업이익 5배 폭등 예고···최윤범號, 희소금속으로 새 역사 쓴다
중국의 희토류 및 희소금속 수출 통제 강화로 인해 고려아연이 국내 유일 희소금속 생산기업으로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안티모니를 비롯한 희소금속 가격과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올해 희소금속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0배 넘게 폭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등으로 수출을 확대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중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