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일반
삼성증권, 3분기 순이익 3092억원···전년比 29%↑
삼성증권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 309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8.65% 증가했다. 자산관리(WM)에서 고액자산가 유입과 고객자산 37조원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투자은행(IB) 부문 역시 구조화금융과 IPO 주관 딜 성공으로 수수료가 큰 폭으로 늘었다.
[총 4,042건 검색]
상세검색
증권일반
삼성증권, 3분기 순이익 3092억원···전년比 29%↑
삼성증권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 309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8.65% 증가했다. 자산관리(WM)에서 고액자산가 유입과 고객자산 37조원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투자은행(IB) 부문 역시 구조화금융과 IPO 주관 딜 성공으로 수수료가 큰 폭으로 늘었다.
게임
위메이드, 3분기 영업익 263억원···전분기 比 흑자전환
위메이드는 2023년 3분기 연결 매출 1,636억원, 영업이익 263억원, 당기순이익 574억원을 달성했다. '미르의 전설' 중국 라이선스 매출과 비용 효율화로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과 신작 출시, 블록체인 기반 위믹스 플레이로 수익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
채널
이마트, 3분기 영업익 1514억···3분기 연속 실적 개선
이마트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51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5% 증가했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 속에서도 트레이더스 매출 1조 돌파, 신세계 계열 자회사들의 실적 호조, 가격-상품-공간 혁신 전략 등이 수익성 개선을 뒷받침했다.
게임
믿을 건 '아이온2'···엔씨소프트 "내년 글로벌서 승부"(종합)
엔씨소프트는 2023년 3분기 영업손실을 전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이며, 해외 및 로열티 매출 성장으로 매출 구조 개선에 성공했다. 아이온2 등 신작 공개 및 해외 시장 확장, 자체 결제 시스템 도입, 모바일·기술 플랫폼 회사 인수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나섰다.
게임
컴투스, 3분기 영업손실 194억원···"신작 마케팅 비용 여파"
컴투스는 2024년 3분기 매출 1601억 원, 영업손실 194억 원을 기록했다. 신작 출시 전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이익이 감소했으나 글로벌 IP 확보, 대형 신작 라인업, AI 기반 개발 혁신 등을 통해 중장기 성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 증권가 "코스맥스 국내법인 수익성 둔화"···목표가 일제히 하향
코스맥스가 3분기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하자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일제히 하향했다. 국내법인 영업이익률 하락과 신규 인디브랜드 증가, 생산효율 저하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글로벌 신규 고객 유입과 효율 개선이 이익률 회복의 열쇠다.
식음료
CJ제일제당, 3분기 영업익 2026억원···전년比 25.6%↓
CJ제일제당의 2025년 3분기 매출은 대한통운 제외 1.9% 감소한 4조5326억원, 영업이익은 25.6% 줄어든 2026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식품 부문 내수 부진과 바이오 및 사료 부문 약세가 영향을 미쳤으나, K-푸드 중심의 해외 사업 확대, 특히 유럽 및 일본 시장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게임
엔씨소프트, 3분기 영업손실 75억원···적자 축소
엔씨소프트가 올해 3분기 매출 3600억원, 영업손실 75억원, 당기순이익 347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나, 엔씨타워1 매각으로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해외 및 로열티 매출이 성장하며 전체 비중이 40%에 달했으며, 지스타 2025에서 대형 신작 게임 공개로 반등을 모색한다.
유통일반
한샘 3분기 영업이익 68억원···작년 比 6.1% 감소
한샘의 2023년 3분기 영업이익은 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했다. 누적 영업이익은 1554억원으로, 전년 동기 2731억원에 비해 43.2% 줄었다. 매출 역시 4413억원으로 2.8% 하락했다. 10분기 연속 흑자에도 불구하고 실적 둔화가 두드러졌다.
패션·뷰티
LG생활건강, 3분기 영업익 462억원···전년比 56.5%↓
LG생활건강은 3분기 뷰티 사업 구조조정과 내수 침체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뷰티 부문은 적자로 전환됐으나, 생활용품과 음료 사업부가 실적 방어에 기여했다. 북미·일본 등 해외 매출이 증가하며 K-뷰티 회복세가 나타났고, 신임 대표이사 선임 등 경영 혁신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