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
익시오, AI 보안으로 진화···LGU+ '안티딥보이스' 공개
LGU+가 온디바이스 AI 기반 '안티딥보이스' 기술을 익시오에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위변조된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디지털 범죄 근절에 나섰으며, 3년 내 600만 가입자를 목표로 보안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다.
[총 10,336건 검색]
상세검색
통신
익시오, AI 보안으로 진화···LGU+ '안티딥보이스' 공개
LGU+가 온디바이스 AI 기반 '안티딥보이스' 기술을 익시오에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위변조된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디지털 범죄 근절에 나섰으며, 3년 내 600만 가입자를 목표로 보안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다.
에너지·화학
中은 '일시정지'···LG엔솔, 폐배터리 재활용 지도 美·EU로 넓힌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폐배터리 사업이 본격적으로 항로를 넓히고 있다. 초창기 행보였던 중국 합작 법인은 장기간 연기되며 제자리걸음인 반면, 북미·EU에서는 연이어 전처리 공장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19일 일본 도요타통상과 함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윈스턴세일럼 지역에 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GMBI)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해당 법인은 연간 1만3500톤 규모의 사용 후 배터리와 생산 스크랩을 처
에너지·화학
AI 시대 개막···삼성·SK·LG, '3社3色' 전략은
최근 전 세계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주도권 확보에 사활을 거는 가운데, 국내 대표 대기업인 삼성과 SK, LG도 AI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고 주도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 SK, LG 등 국내 3사는 올해 각 사의 장점을 바탕으로 AI 기술 개발, 인프라 확충, 인재 확보 등 AI 전 분야에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AI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은 이들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 사업 모델 전반에
한 컷
[한 컷]'안티딥페이크'·'안티딥보이스' 소개하는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직원들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서울역빌딩에서 열린 '익시오 안티딥보이스(ixi-O Anti-DeepVoice)' 출시 AI 보안 기술설명회에 마련된 체험존에서 (왼쪽)합성된 영상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AI 기술인 '안티딥페이크'와 합성된 음성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AI 기술인 '안티딥보이스'를 소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온디바이스 형태로 상용화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회사 설명으로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MW
한 컷
[한 컷]'안티딥보이스' 발표하는 이석영 LG유플러스 담당
이석영 LG유플러스 모바일서비스트라이브 담당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서울역빌딩에서 열린 '익시오 안티딥보이스(ixi-O Anti-DeepVoice)' 출시 AI 보안 기술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 기술을 온디바이스 형태로 상용화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회사 설명으로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MWC25에서 안티딥보이스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아울러 최근 심화되고 있는 피싱 피해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보안에 특화된 AI를 개발과
한 컷
[한 컷]전병기 LG유플러스 전무 "AI가 고객 삶에 실질적 가치 제공할 것"
전병기 LG유플러스 AX기술그룹장 전무가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서울역빌딩에서 열린 '익시오 안티딥보이스(ixi-O Anti-DeepVoice)' 출시 AI 보안 기술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 기술을 온디바이스 형태로 상용화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회사 설명으로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MWC25에서 안티딥보이스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아울러 최근 심화되고 있는 피싱 피해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보안에 특화된 AI를 개발과 일상의
패션·뷰티
LG생건, 프라엘 품고 뷰티테크 시동···'에이지알' 추격 나선다
LG생활건강이 프라엘 운영권 전면 확보와 함께 미세전류·LED 기반의 신제품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를 출시하며 뷰티테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화장품, 디바이스, AI를 융합한 맞춤형 솔루션으로 글로벌 홈 뷰티 시장과 APR 등 신흥 경쟁사에 본격 대응한다.
전기·전자
'AI' LG가 과기부 장관 배출했다
LG AI연구원장 배경훈이 이재명 정부 첫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배경훈은 AI 모델 개발, 글로벌 표준화, 의료 AI 연구 등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그의 임명은 AI 혁신 및 국가적 대전환 가속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통신
'알뜰폰 1위' LGU+, 연내 '모바일 알닷' 론칭
LG유플러스가 알뜰폰 전용 플랫폼 '알닷' 모바일 앱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는 이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고객 편의성과 서비스 강화를 목표로 한다. 알뜰폰 시장 1위 굳히기 전략으로, 연내 또는 내년 초 앱 출시를 준비 중이다.
재계
李 정부 출범에 국내 투자로 화답하는 재계···삼성은 언제
이재명 정부가 이달 초 새롭게 출범하면서 재계도 연이어 투자 보따리를 풀고 있다. LG그룹이 스타트를 끊은 데 이어 SK그룹도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시장의 시선은 이제 삼성으로 향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LG와 SK 등 양사는 새정부 출범 후 국내에 조단위 투자를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장에서는 이들의 국내 투자 결정이 추후 경제 회복과 민간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간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