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해킹 파동' KT "네트워크 안전·고객 보호에 총력"
KT는 소액결제 해킹 등 최근 발생한 네트워크 침해 사고와 정부 조사에 대해 고객 신뢰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전사적 대응에 나섰다. 펨토셀 관리 강화, 망 접근 제어, 통합 관제 등 보안 체계를 전면 개선하고,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도 추진 중이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통신
'해킹 파동' KT "네트워크 안전·고객 보호에 총력"
KT는 소액결제 해킹 등 최근 발생한 네트워크 침해 사고와 정부 조사에 대해 고객 신뢰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전사적 대응에 나섰다. 펨토셀 관리 강화, 망 접근 제어, 통합 관제 등 보안 체계를 전면 개선하고,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도 추진 중이다.
분양
광주 '중앙공원 롯데캐슬 시그니처' 입예협, 롯데건설 현장 근로자들에 커피차 응원
광주 최대 민간공원 특례사업인 '중앙공원 롯데캐슬 시그니처' 입주예정자협의회가 1200여 명의 현장 근로자에게 커피차를 보내 감사와 응원의 뜻을 전했다. 본 단지는 국내 최초 국가도시공원 지정이 추진되며, 광주 서구 일대에 2,77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6개 테마숲, 야외공연장 등 다양한 문화시설이 들어설 예정으로 지역민의 기대를 모은다.
중공업·방산
KAI, 항공소재 228종 국산화 성공
KAI는 항공소재개발연합과 함께 항공소재 228종 국산화에 성공하며,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기술 자립과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 산학연 협력을 통해 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를 확대하고, 2030년까지 1조3000억원 상당의 추가 수입대체를 목표로 해외시장 진출도 모색 중이다.
금융일반
황기연 수출입은행장 "대미투자사업 금융수요 적극 부응···정부 정책 뒷받침"
황기연 한국수출입은행장은 취임식에서 대미투자 사업의 금융 수요에 적극 부응하고 수출기업 지원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미국 관세정책, 미·중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변화 속에서 전략산업 육성, 글로벌 사우스 협력 확대 등 새로운 성장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보험
규제 장벽에 막힌 생보사 요양사업···새 먹거리 걸림돌 여전
생명보험사들이 요양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려 하나, 규제장벽과 신용공여 제한 등으로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요양 수요가 급증하지만, 토지·건물 소유 의무 등 현행 규제와 자회사 간 신용공여 제약이 민간투자를 가로막고 있어 제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은행
기업은행, 중소·중견기업 위해 1700억원 규모 모험자본 공급
IBK기업은행은 키움프라이빗에쿼티와 공동으로 1700억원 규모의 모험자본을 조성해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한다. 제조업, 친환경, 디지털 전환 등 미래산업 분야가 중점 지원 대상이다. 이번 펀드는 2030년까지 운영되며, 지속적인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기자수첩
[기자수첩]새벽배송 막는다고 노동이 건강해지지 않는다
택배노조가 제안한 새벽배송 금지 방안을 두고 기사·산업계·소비자 모두 반발을 보이고 있다. 야간 노동자의 건강 보호라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현장 기사 대다수가 이 시간대를 선호하며, 산업 전체에 미칠 타격이 우려된다. 진정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
게임
넷마블, 3분기 영업익 909억원···전년比 38.8% ↑
넷마블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6960억원, 영업이익 909억원, 순이익 40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 38.8%, 97.1% 성장했다. 해외 매출은 전체의 68%를 차지했고, '뱀피르', '세븐나이츠 리버스' 등 신작 흥행과 자체 IP 비중 확대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자동차
'한국과 함께한 30년'···BMW 그룹 코리아의 투자는 사람과 사회로 향한다
BMW 그룹 코리아는 법인 설립 30주년을 맞아 한국 내 현지화 모델,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 첨단 R&D 센터 설립, 사회공헌 프로그램, 청년 인재 양성 등 다각적인 투자와 혁신을 추진해왔다. 국내 협력사와 상생하며 미래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종목
[마감시황]코스피, 외국인 매도 공세에도 반등···4026.45 마감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4026.45로 상승 마감했다. 주요 대형주는 혼조세를 보였으며, 코스닥은 약보합세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1447.7원으로 소폭 하락 마감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