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전자
"전 세계 1위 인데"···삼성·LG전자, TV 성적 동반 부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2분기 TV 사업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하며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스마트폰과 OTT 서비스 확산으로 TV 수요가 침체되고,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하반기에는 미국발 관세 우려까지 더해져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총 10,466건 검색]
상세검색
전기·전자
"전 세계 1위 인데"···삼성·LG전자, TV 성적 동반 부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2분기 TV 사업에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하며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스마트폰과 OTT 서비스 확산으로 TV 수요가 침체되고,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하반기에는 미국발 관세 우려까지 더해져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에너지·화학
LG화학, 서산에 친환경 바이오 오일 공장 건설···연간 30만톤 규모
LG화학이 충남 서산에 자회사 엘지에니바이오리파이닝을 통해 국내 최초 HVO(식물성 바이오 오일) 공장 건설에 나섰다. 연간 30만 톤 규모로 2027년 완공 예정이며, 에니와의 합작을 통해 친환경 연료와 원재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산업일반
LG 컨소시엄, 국가대표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자로 선정
LG 컨소시엄이 국내 AI 파운데이션 모델 국가사업자로 선정됐다. 주관사 LG AI연구원의 EXAONE 4.0은 글로벌 AI 성능 분석에서 한국 1위, 오픈 웨이트 기준 세계 4위에 올랐다. 컨소시엄은 EXAONE 기술로 100% 이상 성능의 K-EXAONE을 오픈소스화하고, 다양한 산업에 적용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에너지·화학
"美 진출 없인 답 없다"···K배터리, 'ESS'로 하반기 생존법 모색
국내 배터리 3사가 명암이 뚜렷한 2분기 성적표를 공개했다. 북미 생산을 통한 AMPC(고급 제조 세액공제) 수혜가 이번 실적의 분수령으로 작용한 가운데, 보조금에 대한 집착이 하반기 더욱 과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3사는 ESS 사업 확대를 하반기 주요 전략으로 삼아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AMPC 극대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기업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올해 2분기 엇갈린 실적
통신
[르포]'GPU 온도' 잡아라···LGU+ 데이터센터 '핵심 기술' 살펴보니
LG유플러스가 평촌2센터 데모룸에서 AI 데이터센터용 수랭식 냉각 기술을 시연했다. 직접-칩 냉각과 액침냉각 모두 적용해 GPU 서버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 전력 효율, 공간, 하드웨어 수명 개선에 기여한다. 업계는 공랭식 한계를 넘는 수랭식이 미래 인프라로 주목받는다고 평가한다.
에너지·화학
'지지부진' K석유화학, 하반기 업황 반전 신호 포착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2분기 실적 공개를 시작했다. 한화솔루션과 LG화학 등 주요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와 배터리 부문에서 호조를 보이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반면 전통 케미칼 부문 실적은 부진했다. 업계는 3분기부터 제품 수요 증가와 정책 변화 등으로 업황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재계
삼성·LG에 30조 발주···韓美 협상 숨은 주역은 머스크?
이재명 정부가 미국과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통상 협상에 성공한 가운데, 테슬라와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이 총 30조 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맺었다. 일론 머스크가 AI 칩 생산 협력을 직접 공개하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과 미국 수출 경쟁력이 크게 부각됐다.
전기·전자
LG 3형제, 2분기 나란히 부진···하반기 반등할까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3사가 2분기 동반 실적 악화를 기록했다. LG전자는 MS사업부 타격으로 부진이 지속되며, 하반기 관세와 가전 비수기 영향이 우려된다. 반면, 디스플레이와 이노텍은 아이폰17 공급 확대와 기술력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다.
에너지·화학
LG에너지솔루션, 6조원 규모 LFP 배터리 수주···테슬라 추정(종합)
LG에너지솔루션이 약 6조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업계는 테슬라 ESS용 수주로 추정하고 있다. 미중 갈등과 관세 강화로 북미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생산역량과 공급망 다변화가 주목받는다. 최근 ESS 수주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전기·전자
경영 정상화 속도 LG디스플레이···정철동 매직 현실화?
LG디스플레이가 정철동 사장 리더십 아래 OLED 중심 전략과 원가 구조 혁신을 통해 4년 만에 연간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올해 차입금 조기 상환, 재무구조 개선, 수익성 강화로 경영 정상화를 앞당겼다. 시장은 하반기 실적 확대로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