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4일 수요일

  • 서울 15℃

  • 인천 16℃

  • 백령 10℃

  • 춘천 15℃

  • 강릉 9℃

  • 청주 16℃

  • 수원 16℃

  • 안동 17℃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4℃

  • 전주 14℃

  • 광주 17℃

  • 목포 15℃

  • 여수 19℃

  • 대구 20℃

  • 울산 16℃

  • 창원 21℃

  • 부산 19℃

  • 제주 17℃

“신사업 급한데”···금융권, 계속되는 ‘채용비리’ 후폭풍에 한숨만

“신사업 급한데”···금융권, 계속되는 ‘채용비리’ 후폭풍에 한숨만

등록 2018.06.05 05:01

수정 2018.06.05 09:31

차재서

  기자

檢, 중순께 채용비리 수사결과 발표경우에 따라 장기간 법정공방 불가피“금융그룹 ‘혁신’ 발목···논란 끝내야”

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채용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의 칼끝이 최고경영자(CEO)를 향하자 금융권 전반이 다시 얼어붙었다. 갑작스럽게 위기에 내몰렸던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이 구속을 면하면서 최악의 국면은 피했지만 검찰 수사 결과 발표와 맞물려 불씨가 재점화할 수 있는 만큼 초조하게 사태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검찰은 이달 중순께 관할 지방검찰청에서 진행 중인 은행권 채용비리 수사 결과를 일괄 발표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 금융그룹 CEO에 대한 기소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의 현장검사 자료를 넘겨받은 검찰은 지난 2월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은행 본점과 인사 담당자 자택 등을 수차례 압수수색했으며 실무자를 구속해 재판에 넘겼다.

아울러 검찰은 지난달 윤종규 KB금융 회장(9일)과 최흥식 전 금감원장(24일), 함영주 KEB하나은행장(25일),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29일) 등을 연이어 조사했으며 함 행장에 대해서는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도 했다.

이렇다보니 금융권도 내심 불안한 기색이 역력하다. 비록 함 행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현직 CEO의 구속 가능성이 사라진 것은 맞지만 이 사실이 무혐의를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혐의를 놓고 검찰과 장기간 법정공방을 펼쳐야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외부에서는 부정적인 여론도 적지 않다. 검찰과 금융당국의 채용비리 수사가 반년 넘게 지속되면서 각 금융그룹이 야심차게 추진 중인 혁신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게 신산업 관련 인가다. 그간 금융당국은 주요 경영자가 검찰 수사를 받는다는 이유로 각 금융회사의 신산업과 관련한 인가 심사를 뒤로 미뤄왔다. 그 여파로 DGB금융지주의 하이투자증권 인수나 하나자산운용의 하나UBS자산운용 지분 인수, KB증권의 단기금융업 인가 등이 매듭을 짓지 못하고 지연되는 상황이다.

실제 DGB금융의 경우 지난해 11월 현대미포조선과 하이투자증권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한 이래 자회사 편입을 시도했지만 관련 작업이 답보 상태에 빠졌다. 박인규 전 회장을 둘러싼 CEO리스크와 대주주 적격성 문제가 불거진 탓이다. 현재 금감원은 DGB금융이 지난해 12월 제출한 신청서의 보완을 요구한 상태지만 여전히 승인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금융도 마찬가지다. 하나금융투자가 지난해 7월 하나UBS자산운용의 UBS 지분 51%를 인수하며 경영권과 지분 100%를 확보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나 올 2월 당국이 이에 대한 대주주적격성 심사를 중단해 계약 정식 체결이 보류됐다.

KB증권의 단기금융업 인가 문제도 같은 맥락으로 여겨지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옛 현대증권 시절 불법 자전거래가 발목을 잡아 인가를 자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면에는 채용비리 수사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시각이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는 “각 금융그룹이 채용비리 문제로 발목을 잡히면서 혁신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의 과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양상”이라며 “검찰과 금융당국이 관련 이슈를 조속히 매듭짓지 않는다면 금융권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