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5일 목요일

  • 서울 20℃

  • 인천 19℃

  • 백령 13℃

  • 춘천 22℃

  • 강릉 26℃

  • 청주 21℃

  • 수원 19℃

  • 안동 23℃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2℃

  • 전주 22℃

  • 광주 25℃

  • 목포 20℃

  • 여수 21℃

  • 대구 26℃

  • 울산 22℃

  • 창원 26℃

  • 부산 23℃

  • 제주 19℃

지난해 증시 활황에 ELS 발행·상환 역대 최고

지난해 증시 활황에 ELS 발행·상환 역대 최고

등록 2018.04.09 06:00

정혜인

  기자

자료=금융감독원 제공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지난해 증권회사가 발행한 주가연계증권(ELS)의 발행과 상환이 증시 활황에 힘입어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회사의 ELS, 기타파생결합증권(DLS) 등 파생결합증권 발행 금액은 총 111조6000억원, 상환 금액은 총 122조9000억원으로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외 증시호황으로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의 발행·상환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데에 기인한 것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지난해 ELS 발행은 전년 대비 64.5% 증가한 81조1000억원을 기록해 2015년 기록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이는 2003년 출시 이후 역대 최고치에 해당한다. 일반투자자 등 50인 이상을 대상으로 공모로 발행되는 비중이 78.6%로 대부분을 차지 했고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형태의 ELS 발행 비중이 80.2%로 압도적이었다.

ELS 발행 형태는 코스피200 등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지수형 ELS의 비중이 91,5%로 개별종목형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이 중 2개 이상의 기초자산 결합상품이 82.1%를 차지했다. 지수형 ELS의 기초자산 발행규모는 2015년 이후 3년째 유로스탁스50(53조원)의 비중이 컸고 코스피200(45조1000억원), S&P500(27조4000억원) 순이었다. ELS 발행·판매 경로는 은행신탁이 50.3%로 증권사의 증권회사의 일반공모(22.6%)보다 많았다.

지난해 ELS 상환액도 95조1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09.0%나 증가했다. 기초지수가 되는 국내외 증시의 상승 동조화 추세로 조기상환이 77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말 ELS 발행잔액은 상환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20.2% 감소한 55조2000억원에 머물렀다. 기초자산별로는 코스피200(29조8000억원) 비중이 가장 크고, 유로스탁스50(27조4000억원), S&P500(15조7000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DLS 발행은 30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ELS와 달리 사모의 비중이 월등히 81.1%로 높았고 원금보장형 DLS 발행(38.7%)도 높은 편이었다. 기초자산별로는 CD금리 등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의 비중(41.2%)이 가장 높고, 신용(25.7%), 원자재(4.2%), 환율(1.8%), 기타 혼합형(27.1%) 순을 기록했다.

지난해 DLS 상환액은 27조8000억원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전년보다 만기상환은 7000억원 증가했으나 조기상환이 같은 금액만큼 감소했다.

지난해 말 DLS 발행잔액은 34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6% 늘었다.

지난해 말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의 자체헤지와 백투백헤지의 비중은 각각 50.9%(45조8000억원)와 49.1%(44조2000억원)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ELS·DLS의 자체헤지 비중은 전년 말 대비 각각 3.1%, 3.3%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증권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자산(헤지자산)의 평가금액은 91조5000억원으로 이 중 대부분을 채권(77.3%)으로 운용했다. 뒤를 이어 예금(14.6%), 파생상품(2.9%) 순이었다.

채권은 대부분 국공채 등 A등급 이상 우량 국내채권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채권은 대부분 국내채권(88.4%)으로 운용되고, 국공채 26.4%, 장기신용등급 A 이상 59.5%, 단기신용등급 A2 이상 9.3% 등으로 구성됐다. 이는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의 구분 관리와 헤지운용의 안정성 유지라는 감독 방향에 따른 것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이익은 4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3조5000억원이나 늘었다. ELS 투자이익률은 4.6%(연환산 4.1%), DLS 투자이익률은 1.6%(연환산 1.6%)으로 전년보다 크게 개선됐다.

증권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에 따른 이익은 7190억원으로 전년도에 손실을 기록한 것에서 흑자 전환했다. 주가지수 상승에 따른 파생상품 운용이익 증가로 ELS에서 5859억원, DLS에서 1331억원의 운용이익이 발생했다.

지난해 말 현재 녹인(Knock-In, 원금손실 가능구간에 진입한 미상환 상품잔액) 발생액은 총 1조1000억원 수준이다. 이 중 9938억원(89.4%)이 올 상반기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다. ELS는 1조원(원금비보장의 2.6%), DLS는 848억원(원금비보장의 1.5%)의 녹인이 발생했는데 ELS는 HSCE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가, DLS는 코스피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ELS는 발행과 상환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지난 3월 현재까지 그 추세가 지속되는 등 시장 과열조짐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최근 금리상승 추세에 따라 증권사들도 높은 목표수익률 제시를 위한 고위험 ELS 상품을 발행하는 등 판매·관리리스크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ELS 발행조건 등 시장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특정지수 쏠림현상 방지 등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도모하고 발행자금 운용자산과 고유자산의 구분관리, 헤지자산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