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5일 목요일

  • 서울 14℃

  • 인천 11℃

  • 백령 11℃

  • 춘천 15℃

  • 강릉 20℃

  • 청주 15℃

  • 수원 12℃

  • 안동 14℃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6℃

  • 전주 14℃

  • 광주 14℃

  • 목포 12℃

  • 여수 15℃

  • 대구 18℃

  • 울산 15℃

  • 창원 17℃

  • 부산 16℃

  • 제주 13℃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하반기 어쩌나"

밥상물가 非常②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하반기 어쩌나"

등록 2022.07.14 12:00

조효정

  기자

상반기 국제 밀·대두·식용유 급등···하반기 국내 물가 반영 전망가뭄·장마 이어지면서 채소 생산량 감소···국내 농산물 가격 급등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98년 이후 물가 상승률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 3분기 국내 식품 가격이 추가로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반기에 국제 선물시장서 밀과 대두, 식용유 등이 급등한 여파가 하반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가뭄 및 장마가 이어지며 농산물 생산량까지 급감했기 때문이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식품기업들은 세계 식량 가격 변동 추이에 따라 가격 추가 인상 카드 꺼낼지, 동결할지 등을 선택하겠다는 입장이다. 각 기업이 수입 원재료 추가 구매에 나서는 등 물가 인상에 대비하고 있지만, 국내 채소 생산량이 급감한 데다 올해 3분기 수입 곡물 값이 인상이 전망되는 상황이다.

업계 전문가들 아직 물가 고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지난 3~5월 밀, 대두, 식용유 등의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던 여파가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3분기 국내 가공식품 가격이 추가로 오를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국제 곡물 7월호'에 따르면 올 3분기 식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184.8로 2분기(4∼6월)보다 13.4%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도 전 분기 대비 12.5% 오른 178.4로 추산됐다. 두 지수는 이미 올 2분기에 2008년 4분기(10∼12월) 이후 약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수입 곡물 가격 상승세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3∼6월 구입 물량이 시차를 두고 국내로 들어오고 있는 데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까지 오르면서 수입 원재료 구매가격은 지난해 평균 환율(1144원)보다 18%가량 상승효과를 내고 있다.

대부분 3~6개월가량 비축할 물량을 구매하기 때문에 국제 선물가격이 한국 시장에 반영되기까지는 통상 4~6개월이 더 걸린다. 상반기에는 지난해 말부터 비축한 원자재를 사용해 곡물 가격 급등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국제 선물시장에서 지난 3~5월 구매 분양의 가격은 금년 하반기에, 현시점에서 구매하는 원재료 가격은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반영된다.

올 3월 미국 시카고선물거래소(CBOT)에서 t당 475.46달러까지 치솟은 밀 가격은 지난달 30일 319.2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6월 말보다 여전히 27.9% 높은 수준이다. 1일 원-달러 환율도 1297.3원으로 마감하며 3개월 새 80원 넘게 올랐다.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하반기 어쩌나" 기사의 사진

수입 곡물 가격이 오르면 이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국내 식품이나 사료 가격도 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자장면을 비롯해 밀가루를 주로 사용하는 제품들은 벌써 큰 폭으로 올랐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서울 자장면값은 올 5월 평균 6223원(1인분 기준)으로 1년 전보다 15.6% 올랐다.

CNBC에 따르면 노무라증권의 인도·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소날 바르마도 최근 아시아 국가들의 정부가 식량 가격을 낮추기 위해 보조금을 주는 한편 가격을 통제해 글로벌 움직임에 뒤처지는 경향이 있다며 "아시아 식품 가격은 올해 3분기에 최고치에 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르마는 한국과 싱가포르는 식품 수입 의존도가 높고, 인도는 밀·쌀을 자급자족하지만 폭염과 여타 식품 가격 인상 등이 지속되는 점이 앞으로 식품 가격을 높일 요인이라고 지목했다.

설상가상으로 연이은 가뭄과 장마에 채소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농산물 가격도 급등했다. 지난주에 비해 상추는 약 4배, 애호박은 3배 증가했다. 추석 맞물려 농산물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식품기업들은 수입 원재료 추가 구매하는 등 대비에 나섰지만, 국제 곡물 가격은 여전히 평년 대비 높은 수준이라 난항을 겪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비용 증가 및 수익성 악화로 가격 인상에 대한 압박 및 실적 부담이 크다. 하지만 이미 지난해 말부터 가공식품 가격을 조금씩 올린 데다, 서민에게 물가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어 기업이 쉽게 인상 및 동결 여부를 결정하기에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