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8℃

  • 백령 5℃

  • 춘천 8℃

  • 강릉 10℃

  • 청주 8℃

  • 수원 6℃

  • 안동 9℃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8℃

  • 전주 8℃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3℃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3℃

가계부채, 1분기 1765조원···부동산 쏠림에 증가세 지속

가계부채, 1분기 1765조원···부동산 쏠림에 증가세 지속

등록 2021.06.22 11:00

임정혁

  기자

전년대비 9.5% ↑···주택담보대출 8.5% 상승취약가구 중심 부실위험 증대···“유의할 필요”기업 부채도 증가···민간신용 비율 9.1p 늘어

주택거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계부채도 덩달아 불어나 채무상환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2일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2021년 6월)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지난 3월 말 기준 1765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5% 늘어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 주택담보대출이 8.5% 증가한 가운데 기타대출도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10.8% 늘었다.

같은 기간 명목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104.7%로 전년동기대비 9.1%p 상승했다.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171.5%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년동기대비 11.4%p 상승했다.

한은은 “가계신용은 주택관련 자금수요 등으로 높은 증가세가 지속됐다”며 “가계의 소득여건 개선이 지연되면서 가계의 채무상환부담도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기회복이 차별화되고 금융지원 조치 등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취약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증대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 1분기 1765조원···부동산 쏠림에 증가세 지속 기사의 사진

◇부동산 가격 상승 따라 투자자금 조달 차입 증가 = 부동산가격 등의 자산가격 상승이 투자자금 조달을 위한 차입 증가와 맞물리면서 금융불균형을 심화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부동산 등 일부 자산의 경우 기초경제 여건에 비해 고평가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향후 주요 선진국의 금리상승 등 대내외 충격 발생 시 취약부문 차주를 중심으로 대출 연체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취약차주에 대한 대출은 대출금리가 시장금리에 민감하게 변동하는 신용대출 등의 비중이 높고 저신용자가 많아 차주의 채무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제시했다.

특히 각종 금융지원 조치 만료와 함께 차별적 경기회복세로 취약부문의 소득여건 개선이 지연될 경우 신용위험이 더욱 커질 우려도 나왔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대내외 여건 변화 시 가계 취약부문의 연체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도록 대출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취약부문은 비취약부문에 비해 연체진입률과 잔류율이 높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기업 부채 상승···“금융지원보다 실적 개선 먼저” = 금융지원은 일시적 부실기업을 지원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으나 장기화될 경우 기업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소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운영자금 조달 등으로 차입을 늘리면서 부채는 지난 3월 말 기준 1402.2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세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나 전년동기대비 14.1% 상승세를 유지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같은 기간 명목GDP 대비 가계와 기업의 부채를 더한 민간신용 비율은 104.7%로 전년동기대비 9.1%p 높아졌으며 명목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도 111.6%로 전년동기대비 6.8%p 상승했다.

한은은 “기업의 이자지급능력 개선을 위해 이자비용 경감 등 금융지원보다는 국내외 수요회복과 기업경쟁력 강화 등을 통한 매출 영업이익 개선이 보다 근본적이고 시급한 과제”라며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일시적 부실기업을 지원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으나 장기화될 경우 기업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소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