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6℃

  • 인천 6℃

  • 백령 6℃

  • 춘천 7℃

  • 강릉 10℃

  • 청주 8℃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8℃

  • 전주 8℃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1℃

  • 대구 9℃

  • 울산 11℃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9℃

日 반도체 소재 규제를 둘러싼 ‘위기론과 낙관론’

日 반도체 소재 규제를 둘러싼 ‘위기론과 낙관론’

등록 2019.07.02 11:05

최홍기

  기자

日, 에칭가스·리지스트 등 韓 수출 규제반도체 필수소재···의존도 높아 리스크 커무조건 악재 아냐···반도체 국산화 기회론도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일본이 반도체 필수소재의 한국 수출을 규제키로 하면서 이를 둘러싼 업계 해석 또한 분분하다. 관련 업계에서는 일본의 정치적 목적의 ‘무역보복’이 시작됐다는 평가 속에 위기론과 낙관론이 맞서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에 대한 수출관리 운용 정책을 수정해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에칭가스’, ‘리지스트’ 3개 품목재료의 수출규제를 오는 4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TV·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부품으로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를 제외한 2개 품목은 반도체 공정에 필수적인 소재다.

에칭가스(고순도불화수소)는 반도체 웨이퍼를 원하는 형태로 깎고 원판에 미세한 회로를 그리는 데 쓰인다. 리지스트는 포토리지스트로도 불리며 반도체 공정에서 회로에 빛을 쏘아 패턴을 새기는 데 빛을 인식할 수 있는 감광제를 일컫는다. 이 가운데 일본은 전세계 에칭가스 생산량의 70%수준, 리지스트 생산량의 90%수준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이같은 행보에 미중 무역갈등으로 촉발된 ‘화웨이 사태’에도 중립을 지켰던 정부도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즉각 국제법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힌 것.

박태성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은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상 금지되는 조치로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정부는 국제법과 국내법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업계는 반도체 공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소재인만큼 장기화시 자칫 생산중단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대체할 수 있는 공급처가 마땅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은 자체적으로 감수할 수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모를 일”이라며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대체 소재등을 찾는 게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단순히 위기 상황으로 볼 수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일본의 이번 지침이 전면적인 수출 금지가 아니라 절차를 강화하는 수준인 만큼 추후 경과를 지켜봐야 부분인데다 일본 기업들에게도 결코 좋은 방향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이에따라 일본의 반도체소재 규제가 장기화로 이어지진 못할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국내 반도체 업계 입장에서 일본 규제가 장기화되면, 공급과잉 국면으로 가격이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재고소진 및 경쟁력 제고에 큰 이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같은 맥락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재고는 최대 3개월 분량으로 관측되고 있다. 앞으로 일본에서 반도체 소재를 수입하려면 당국 허가를 받아야하고 이 과정이 90일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충분히 버틸 여력이 있다는 관측이다.

대체처가 아예 없지도 않다는 점도 무게를 더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등 국내기업들이 이들 소재를 취급하고 있다. 아직까지 일본 기업들에 비해 경쟁력이 뒤떨어진다는 평이지만 점진적으로 ‘국산화’가 이뤄진다면 오히려 한국 입장에선 기회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동진쎄미켐의 경우에는 삼성전자가 지분투자까지 감행하면서 애정을 쏟고 있다.

리지스트의 경우 일본에서 생산하는 리지스트가 아닌 차세대 소재로의 대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EUV(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신기술)와 같이 공정방식이 복잡해지면서 감광제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점도 같은 선상에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전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53%를 기록하고 있다”며 “최대 소재 시장이 한국이란 결과로도 이어지는데 반대로 일본입장에서는 최대 매출처를 잃는 꼴”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최홍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