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19일 화요일

  • 서울 5℃

  • 인천 5℃

  • 백령 5℃

  • 춘천 5℃

  • 강릉 4℃

  • 청주 6℃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5℃

  • 전주 6℃

  • 광주 6℃

  • 목포 6℃

  • 여수 8℃

  • 대구 9℃

  • 울산 10℃

  • 창원 10℃

  • 부산 11℃

  • 제주 8℃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올인?···시장 확대로 외형 키울 듯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올인?···시장 확대로 외형 키울 듯

등록 2021.03.04 14:43

임정혁

  기자

“비교적 조용”···배터리 업계 평가연구개발 늘리며 ‘전고체’ 집중 모드삼성 “2027년 상용화 목표 변함없다”

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전영현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미래 먹거리로 떠올라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삼성SDI의 비교적 조용한 행보가 재계의 잔잔한 관심을 끌고 있다.

세계무대에서 경쟁하는 LG에너지솔루션이나 SK이노베이션과 비교해 공격적인 투자나 그룹 차원의 지원도 눈에 띄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해 삼성SDI 관계자는 “다른 국내 사업자와 비교해서 도드라지지만 않을 뿐 시장 상황에 발맞춰 외형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일찌감치 삼성SDI가 밝힌 ‘전고체 배터리’ 집중 모드가 가동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런 주장은 삼성SDI가 최근 연구개발(R&D) 비용을 늘려가면서 전고체 배터리 관련 인재 채용에 속도를 높인 것에 근거를 둔다.

재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SDI는 배터리 경력직을 채용하면서 지난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만나 논의한 바 있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과 배터리 안전성 연구 등을 채용 대상에 포함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 상태의 배터리로 화재 위험 등을 대폭 낮춰 안전성을 높이면서 배터리 용량도 높일 수 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특징도 있다.

여기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안전성과 관련된 부품들을 줄이고 그 자리에 배터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활물질을 채울 수 있다. 이를 전기차에 적용하면 1회 충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삼성SDI는 자사 홈페이지에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자체 개발 프로젝트 외에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나 일본연구소와 협력해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명시해뒀다. 특히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 800km 이상에 1000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전고체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크기는 반으로 줄일 수 있는 원천 기술을 담고 있는 이 연구내용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게재되기도 했다.

‘그린 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에서도 전고체 배터리에 관심이 높다.

앞서 지난달 18일 경기도 화성시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에 열린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제122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정부는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논의하면서 차세대 기술로 조명받는 전고체 배터리를 2030년까지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배터리 에너지 밀도 향상을 통해 전기차 주행 거리를 60km 이상 확보하고 전비도 15% 향상하는 등 기술혁신을 추진하겠다는 연장선에서 세운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를 향한 학계의 연구도 활발하다. 최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한국화학연구원, 성균관대, 전남대, 인하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형태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는 ‘전고체 이차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1㎜ 이하 두께로 얇게 제작한 전지를 구기거나 잘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돼 화재와 폭발 위험이 없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을 수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지난달 22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전기연구원의 하윤철 박사팀이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황화물 고체 전해질을 저렴하게 대량 합성하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르면 하윤철 박사팀이 개발한 제조법이 황화 리튬을 이용한 고체 전해질 제조비용의 15분의 1에 불과하며 고에너지 공정을 거치지 않아 비용 절감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