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13℃

  • 인천 13℃

  • 백령 11℃

  • 춘천 12℃

  • 강릉 19℃

  • 청주 14℃

  • 수원 13℃

  • 안동 1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3℃

  • 전주 14℃

  • 광주 14℃

  • 목포 13℃

  • 여수 15℃

  • 대구 15℃

  • 울산 16℃

  • 창원 16℃

  • 부산 15℃

  • 제주 14℃

해외자원개발 ‘덫’에 걸린 에너지 공기업

[포커스]해외자원개발 ‘덫’에 걸린 에너지 공기업

등록 2014.11.18 07:43

조상은

  기자

공기업 천문학적 부채만 떠앉아직원들 국익위해 최선 ‘억울하다’

이명박 정부의 해외자원개발사 업이 국정감사 등에서 드러난 부실 인수, 투자 실패 등의 문제 뿐만 아니라 이면에는 사업을 직접 도맡아 추진했던 에너지공기업들의 커지 는 경영 부실화가 자리잡고 있다.

공기업 특성상 정부의 국책사업 추진이 불가피 하다고 하더라도 눈 덩이처럼 불어나는 해외자원개발 에 따른 부채는 에너지 공기업의 존 립 자체마저 위협하고 있다.

◇해외자원개발 5년간 남은 건 ‘빚’ = 이명박 정부 5년간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든 에너지 공기업들의 상황은 처참하다.

감사원의 에너지 공기업 경영실 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해외자원개발 투자를 통해 2019년 까지 30%의 자주개발률 목표 달성 을 위해 2010년 5104억원, 2011년 2조2747억원, 2012년 3조3210억 원, 2013년 2조6683억원을 투자 했다.

가스공사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비는 이 기간 무려 4배 가량이 증가 했다. 해외자원개발 투자 사업비를 금융권 등에서 조달하면서 금융부 채는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실제 가스공사의 2013년말 기준 해외자 원개발사업 추진으로 발생한 금융 부채가 8조6360억원에 달했다. 가 스공사의 전체 금융부채 29조원의 30%에 해당하는 규모다.

감사원은 “차입금에 의존한 해외 자원개발 사업이 가스공사의 부채 증가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 다. 문제는 가스공사가 정확한 사업 평가 없이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추 진하면서 재무건전성 악화에 기름 을 붓고 있다는 점이다.

감사원은 “재무건전성이 악화되 고 있는 상황인데도 명확한 사업성 평가기준 없이 사업성을 평가하거 나 당연히 포함시켜 검토해야 할 현 지 법인세 등을 누락한 채 사업성을 평가하는 등으로 해외자원개발사 업을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캐나다 셰일가스 광구 의 지분매입을 하면서 비전통가스 의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사유로 상업성이 확보되지 않은 발견 잠 재자원량이나 시추하기 이전으로 존재 여부가 불확실한 탐사자원량 까지 매장량과 동일하게 상업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또한 캐나다의 다른 광구 개발지 분 매입시 상업성이 확보되지 않은 잠재적인 자원량까지 반영한 것으 로 드러났다.

‘부실 사업평가→실적 저하→수익성 악화’라는 악순환이 가스공사의 재무건정성에 직격탄 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독배를 마신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자원 공 역시 비슷한 처지에 놓여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14~2018 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2008~2013년 해외자원개발에 대 한 정부의 예산을 2조8759억원 지 원받았다.

하지만 같은기간 석유공사의 자 본은 1181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2010~2013년 기간동안 당기 순손실은 총 1조7668억원에 달했다.

이 결과 석유공사의 2013년 부 채는 18조5000억원으로 산업자원 분야 12개 공기업 부채의 11.2%를 차지했다.

2008년 볼레오 사업에 806억원 을 투자했자만 2012년 주력사업 사가 부도처리되며 손실을 입은 한 국광물자원공사의 경우 부채비율 이 2010년 167.6%에서 2013년 207.6%로 4년새 40% 급증했다.

◇‘철수냐 유지냐’ 솔로몬 지혜 필요 =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들었 다가 ‘빛 좋은 개살구’ 신세로 전락 한 에너지 공기업들은 밖으로 내색 은 안하고 있지만 속으로는 억울하 다는 입장이다.

국익을 위해 5년간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추진했지만 남은 것은 ‘비난 과 빚’이라며 한탄하고 있을 정도다.

A공기업의 관계자는 “에너지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해외자원개발 은 필요한 것”이라며 “투자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랜 걸리지만 성공했을 때는 큰 이익이 돌아오는 데도 지나치게 비난하는 것에 서운 한 면도 있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산업부 고위관계자 역시 “정치권 에서 해외자원개발을 정략적으로 정치 쟁점화하는 것 같다”며 에너지 공기업의 입장을 대변했다.

해외자원개발 사업 특성을 이해 하고 성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 달 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해서 당장 철수할 게 아니라 이제라 도 사업성을 면밀히 검토해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주 문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영훈 바른사회시민회의 경제실장은 “해외자원개발 투자의 경우 단기적으로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 지금 투자의 성패를 장담하기 어려 운 사업의 경우 당장 철수하는 것 보다 철저하게 사업을 재평가할 필 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원기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 간사는 “해외자원개발은 일정 부분 타당하지만 MB라는 정치적 브랜드로 추진한 게 문제”라고 지 적한 뒤 “자원은 제조업과 다르게 5~6년 정도 지나서 성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진상조사를 먼저 한 후 사업 철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신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도 “단기적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 다”면서 “지금 적자라도 운영을 잘 한다면 흑자로 돌아설 수 있는 사업 들은 잘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역시 해외자원개발사업의 당장 철수하기보다는 긴 호흡을 갖 고 지켜보겠다는 스탠스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 부 장관은 “전임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에 41조원을 투자해 서 36조원을 날렸다고 단순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다. 투자회수기 간을 고려하면 5~10년후에는 회 수율이 100%가 넘을 수도 있다” 고 강조했다.

하지만 손실만 내는 사업을 갖고 있는 것 자체가 국민에 게 피해를 주는 만큼 문제된 사업은 하루 속히 정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는 “알져지지 않았던 손실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진상규명이 우선돼야 한 다”면서 “현재의 손실을 최소화하 기 위해 도움이 안되는 사업은 빨리 축소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조상은 기자 cse@

뉴스웨이 조상은 기자

ad

댓글